Glide
메모리 적게 쓰고 성능도 좋다. 기본적인 성능은 차이가 없다.
구글이 전부 Glide를 쓰니까 많이 쓴다.
Glide.with(getContext()){
}
Exception이 나면 안되니까 주석처리한 부분을 쓰면 안된다.
Okhttp로 데이터를 받아오고 파싱은 gson 이미지는 Glide
네트워크 상태 처리
데이터를 받는 중에 끊길 경우 이어받기를 해야한다.
이런 것들을 하기위해서 네트워크 상태가 변화된 걸 알아야 한다.
상태처리를 위해 알아야될 것
1.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모바일인지 와이파이인지 아는것
2. 네트워크를 쓸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하는것.
3. 문제가 생길만한 로직은 감시하고 있다가 처리해주는것.
이런것들을 해줘야한다.
그래서 필요한게 ContivityManager
ConnectivityManager cm = getSystemService();
wifiManager 를 통해서 와이파이를 확인한다.
NSD
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Service를 Network에 등록한 다음, multicast socket을 등록된 서비스를 찾는 기술이다.
NSD 매니져를 통해서 찾을 수 있다.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8일차]퍼미션 (0) | 2016.08.10 |
---|---|
[18일차] 파일 (0) | 2016.08.10 |
[17일차] OkHttp 외 라이브러리들 (0) | 2016.08.09 |
[16일차] 이미지 리퀘스트 (0) | 2016.08.08 |
[16일차] 구조화 2 (0) | 2016.08.08 |